최상철: 蕪物 무물

2024.10.10 ▶ 2024.11.16

우손갤러리

대구 중구 봉산문화길 72 (봉산동, 우손갤러리)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최상철

    無物 21-6 Mumool 21-6 2021, acrylic on canvas, 130.3 x 193 cm 이미지 제공: 우손갤러리

  • 작품 썸네일

    최상철

    無物 22-2 Mumool 22-2 2022, acrylic on canvas, 130.3 x 193.9cm 이미지 제공 우손갤러리

  • 작품 썸네일

    최상철

    無物 22-1 Mumool 22-1 2022, acrylic on canvas, 162.2 x 130.3 cm 이미지 제공 우손갤러리

  • Press Release

    우손갤러리는 오는 2024년 10월 10일 목요일부터 11월 16일 토요일까지 조각돌을 천 번 굴려 작업하며 '그림은 만드는 게 아니라 우연히 태어나는 것이다'라고 자평하는 최상철의 개인전 《無物 무물》을 개최한다.

    "태초의 회화는 모든 인간적인 행위가 사라진 순수한 자연의 상태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우연성이 그림을 그려주는 과정에서 저는 자연의 심부름꾼일 뿐이죠."라고 설명하는 최상철의 무물(無物) 시리즈는 2005년부터 집중해 오고 있는 작업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것들이 스스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가 '없음(無)'과 존재(物)'하는 것이 합쳐진 단어로서 무제한적인 잠재성 속에 있던 무언가가 스스로 그려낸 궤적이 드러나는 순간을 함께하며 묵묵히 그가 조응하는 자일 뿐이라는 설명을 뒷받침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돌이 구르는 소리와 진동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천 번 집중해낸 최상철의 에너지와 메시지가 그대로 전달될 예정으로 1970년대 초기작부터 2024년 신작까지 선보이는 본 개인전 《無物 무물》에서 50여 년에 걸쳐오는 최상철의 숭고한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1946년 출생의 최상철 작가는 196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1970년 제 1회 한국미술대상전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상한 이래로 50여 년간 꾸준히 한국 현대미술사와 함께 작업을 발전시켜 왔다. 붓을 사용하지 않고, 작품을 완성하는 다양한 실험을 거쳐 최근에는 조약돌에 물감을 묻혀 흔적을 남기는 방식의 무물(無物) 시리즈를 이어가고 있다. 작품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시서문

    박경숙 | 큐레이터

    최상철 작가의 전시《무물(無物)》은 예술의 시원을 찾아 고군분투해온 50여 년간의 시간의 궤적을 대구에서 처음 선보이는 전시이다. 그가 한국 화단에 처음 이름을알리기 시작했던 것은 1970년 1’한국미술대상전’에서 였다. 그 후 2024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는 17회의 개인전과 110여 회의 단체전을 해 오면서 굳건히 자신의 길을 걸어왔다. 그는 자신이 도달하고자 하는 예술, 그 최초의 순간을 향해, 끊임없이 새로운 도구를 찾고 실험하며 그 어떤 것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화업을 개척해왔다.

    이번 전시의 제목은 2004년 이후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명명해 오고 있는 표제인 ‘무물(無物)’이다. 무물이라는 단어는 작가가 스스로의 작업을 소개하는 가장 완전한 설명이기도 하다. 무물이란 “모든 것이 뒤죽박죽인 혼돈의 상태”로 “형태가 나타나기 전, 아무것도 없는 무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무(無)’라는 것은 ‘단순히 없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무’는 ‘어떤 것’으로 구분되지 않고 뒤섞여 있는 혼돈 그 자체다. 그것은 ‘온갖 사물들의 시작이며, 근원’이다. 다시 말해 무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충만한 순간을 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무물은 ‘어떤 것’이 탄생 이전의 상태로, ‘폭발하기 직전의 모든 가능성이 응축된 순간’인 셈이다. 작가는 ‘무물’이란 말에 자신이 추구해온 예술의 모습이자, 예술의 시원에 도달하고자 하는 열망을 담았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현실을 묘사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다시 말해 ‘그럴 듯하게, 잘 그려내고 싶은 욕망’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순간’, 그 자유로움으로 되돌아가고자 한다.

    무물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노자(老子)의 글을 인용하며 ‘무위(無爲)’의 상태를 지향하는지 묻는 거창한 우문(愚問)에 그는 소박하면서도 단호하게 응대한다. “그저 매일 마음을 온전히 비워내고, 그렇게 빈 공간과 마주하기 위해 아직도 노력하고 있다오. 하지만 그게 그렇게 대단한게 아니오”라며, 이렇게 노력해서 만나고자 하는 ‘그 세계’는 ‘그저 그렇게 존재하는’ 자연이라고 말한다. 작가에게 자연은 그 자체로 충만하고 그 자체로 편안한 세계이다. 그러나 그 자연에는 온전한 질서의 세계 그 자체가 펼쳐진다. 수많은 존재들이 생존을 위해 경쟁하는 각축장처럼 보이는 자연 속에는, 그저 그렇게 생겨난 것들이 조화롭게 각자의 존재답게 살아간다. 최상철 작가는 바로 그러한 자연의 보이지 않는 질서를 만들어내는 그 규칙이 자신의 그림에서 드러나길 바란다. 그것을 위해 시작해야 하는 첫 단추가 바로 자신의 흔적을 최대한 지워 비워내는 것이었을 뿐이다.

    흰 캔버스 위에서 1,000번의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만들어지는 궤적들 앞에 마주 선 작가는 더 잘 그리고 싶고, 더 많은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고 싶은 열망, ‘일반적인 의미의 성공한 예술가’들의 욕심, 너무나 당연하다 싶은 예술을 향한 욕망을 덜고, 또 덜어낸다. 심지어 그는 이런 마음을 모두 덜어내고자 하는 행위조차도 욕심이 아닌가 자문한다. 작가는 지금도 자신의 의지, 의도, 취향을 비롯한 사소한 인위(人爲)조차도 자신의 그림에서 제거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새로운 시도들을 거듭해 왔다. 그렇게 수십년의 시간 동안 그림에서 자신의 의도가 들어갈 수 있는 지점들을 하나씩 소거했다. 작품을 시작하기 위해 첫 번째 점을 찍을 때도, 점을 이어 선을 그을 때도, 선을 더 그어나갈 방향을 선택해야 할 때도, 심지어 작품을 마무리하는 순간마저도 작가는 정해진 소거의 규칙에 충실한 행위자로 남는 것을 선택했다. 그렇게 최상철 작가의 작업에서 붓은 소거되었다. 그림을 그리기에 최적화된 붓이라는 도구 대신에, 그는 그리는 이의 마음대로 움직이기 어려워서 잘 그려낼 수 없는 새로운 도구들을 고안했다. 첫 번째로 사용한 도구는 테이프였다. 손톱을 이용해서 색을 칠한 종이에 한쪽 면만 눌러 붙인 테이프는 떼어내는 힘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종이를 뜯어낸다. 색이 칠해지지 못해 작가가 의도치 않은 빈틈을 만들어주는 나무틀, 흥건한 물감을 이리저리 밀어내어 생기는 얼룩을 남겼던 2스퀴지 부터 캔버스에 세게 내리쳐서 비산하는 흔적들을 만들어낸 쪼개진 대나무 막대, 물감을 묻힌 실, 철사 그리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제멋대로 생긴 검정 자갈돌 등이 작가가 도전적으로 사용한 실험적 도구들이다.

    이러한 도구뿐 아니라 색 또한 최상철 작가에게 더 이상 의미를 갖지 못한다. 색 역시 다른 의미의 의도가 담긴 회화적 도구이다. 작가는 이렇게 회화가 가진 모든 기교와 의미가 부여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들도 적극적으로 제거했다. 그렇게 그의 작품에는 검은 흔적들만이 남았다. 하지만 그가 향하는 ‘비워진 공간’으로서의 작품은 비록 무음이지만, 형태로 드러나기 위한 폭발 직전의 궤적들이 가득차 귀를 먹먹하게 만드는 웅장하면서도 강한 힘을 발산한다. 그것은 화면 밖으로 쏟아지는 듯한 에너지이기도 하며, 화면 전반을 자유롭게 가로지르며 더 넓게 확장되어가는 찰나(刹那)의 응축된 시간이기도 하다. <무물>은 마치 시공간이 멈춘 것처럼, 우리를 압도한다.

    우리는 어째서 <무물> 앞에서 숨을 멈추고 압도당하는가. 그것은 우리가 평상시에 의식하지 못하는 어떤 근원적인 힘을 마주하기 때문이다. 그 힘이 바로 온갖 사물, 더 나아가 이 세계를 가능하게 하는 ‘있음(有’) 그 자체이다. 무(無)는 유(有)의 무한한 가능성이다. 예술작품은 가능성의 장소로, 언어화될 수 없는 ‘무’, 즉 아직 의미를 갖기 이전의 있음이 그 자체로 드러나는 곳이다. 예술은 근원적인 것-있음 그 자체-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상철 작가는 회화야말로 ‘일체의 꾸밈이 없는 진정한 세계(없음으로 있는 세계)’ 그 자체를 드러내야 한다고 믿는다. 그것이 회화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거기에서 회화는 시작되었다. 최상철 작가가 마주하고자 했던 것이 바로 회화의 ‘근원적인 시원’이다. 그래서 그는 완숙된 기교를 추구하지 않고, 하나의 도구에 익숙해지는 것을 경계했다. 매 순간 다르게 드러나는 무한한 가능성과 마주하기 위해서다. 그래야만 꾸미지 않는 진정한 세계인 자연, 다시 말해 ‘있음 그 자체’가 자신의 캔버스 위에 온전히 내려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작업에 임하는 그의 모든 순간들은 진정한 세계, ‘진실된 나’와 마주하기 위해 한 걸음씩 ‘다가가는 시간’이었다. 최상철 작가가 마주한 영원한 찰나의 시간을 이번 전시《무물》을 통해 경험하길 기대한다.

    ㅡㅡㅡㅡㅡ

    1) ‘한국미술대상전’은 관이 주도하던 <국전(國展)>이 갖고 있던 권위주의, 폐쇄성에 대항하려던 1960-70년대의 새로운 미술의 흐름 속에서 시작된 민전(民展) 중 하나로 한국일보사가 주최한 전시를 말한다. 한국미술대상전은 1970년부터 1980년까지 7회에 걸쳐 개최되었다. 1970년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에는 총 600여 점이 출품되는 등 당시 미술계에 엄청난 호응을 이뤄냈다. 제1회 대상은 김환기에게 돌아갔다. 수상작은 김환기의 점화를 국내에 처음 알린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6-Ⅳ-70#166)>(1970년作)였다. 당시 24세였던 최상철 작가는 기하학적 추상작품 <1970년 여름-K>(1970년作)으로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상했다. 수상작들은 1970년 6월 9일부터 한 달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되었다.

    2) 스퀴지(squeegee)는 판화의 한 종류인 실크스크린 작업에 쓰이는 도구이다. 스퀴지는 작업 면과 맞닿는 부분은 고무재질이고, 손잡이 부분은 나무로 된 ‘고무를 끼운 나무판’을 말한다. 이 도구로 물감을 평평하게 밀어낼 수 있다.

    전시제목최상철: 蕪物 무물

    전시기간2024.10.10(목) - 2024.11.16(토)

    참여작가 최상철

    관람시간10:30am - 07:00pm
    토요일 10:30am - 06:00pm

    휴관일일,공휴일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우손갤러리 WOOSON Gallery (대구 중구 봉산문화길 72 (봉산동, 우손갤러리) )

    연락처053-427-7737

  • Artists in This Show

우손갤러리(WOOSON Gallery)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최상철: 蕪物 무물

    우손갤러리

    2024.10.10 ~ 2024.11.16

  • 작품 썸네일

    올 어라운드 All Around

    우손갤러리

    2024.08.22 ~ 2024.09.28

  • 작품 썸네일

    타다시 카와마타: Tree Hut and Destruction

    우손갤러리

    2024.06.27 ~ 2024.08.10

  • 작품 썸네일

    풍경들 Landscapes

    우손갤러리

    2023.07.13 ~ 2023.08.2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차영석: Jouissance

    이화익갤러리

    2024.11.08 ~ 2024.11.28

  • 작품 썸네일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 작품 썸네일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 작품 썸네일

    박진흥: 광기 光記 드리워지다 Archive of the Light: Cast

    갤러리 반디트라소

    2024.11.06 ~ 2024.11.30

  • 작품 썸네일

    김선: 빙렬, 마음새-몸새-이음새

    갤러리 나우

    2024.11.05 ~ 2024.11.30

  • 작품 썸네일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 작품 썸네일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

  • 작품 썸네일

    무등: 고요한 긴장 Equity: Peaceful Strain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7 ~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