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작가상 2024

2024.10.25 ▶ 2025.03.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 2전시실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권하윤

    옥산의 수호자들 2024, 상호작용 가상현실 설치, 컬러, 사운드, 3D 애니메이션, 가변크기. (신작)

  • 작품 썸네일

    권하윤

    증거부족 2011, 애니메이션, 단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9분 20초 (구작) 프로덕션: 르-프레느와 프랑스 국립현대미술스튜디오

  • 작품 썸네일

    양정욱

    아는 사람의 모르는 밭에서 드로잉, 2024, 나무, 모터, 전구, 실, 철 , 300✕700✕300cm. (신작)

  • 작품 썸네일

    양정욱

    서서 일하는 사람들 #9 2015, 나무, 모터, 백열전구, 실, 220✕160✕130cm. 전남도립미술관 소장. (구작)

  • 작품 썸네일

    윤지영

    호로피다오(가제) 2024, 단채널 영상, 가변크기

  • 작품 썸네일

    윤지영

    미, 노 2021, 구의 싸개를 입은 별기둥, 철, 99.4_ 빛을 흡수하는 아크릴 안료, 실리콘, 실리콘 안료, 투명사, 여섯 몸의 부피는 모두 65,416cm³ 이쪽저쪽. (구작)

  • 작품 썸네일

    제인 진 카이젠

    어귀 2024, 단채널 비디오, 4K, 컬러, 흑백, 스테레오 사운드, 12분. (신작)

  • 작품 썸네일

    제인 진 카이젠

    할망 2023, 단채널 비디오, 4K,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12분. (구작)

  • 작품 썸네일

    권하윤

    전시전경

  • 작품 썸네일

    양정욱

    아는 사람의 모르는 밭에서

  • 작품 썸네일

    윤지영

    전시전경

  • 작품 썸네일

    제인 진 카이젠

    이어도 (바다 너머 섬)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4

    2024 후원작가 4인

  • Press Release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SBS문화재단과 공동 주최하는 《올해의 작가상 2024》를 10월 25일(금)부터 2025년 3월 23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2012년 시작된 이래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미술상으로 자리매김한 <올해의 작가상>은 전도유망한 중견작가들의 전시와 시상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저변을 넓히고 국제적 도약의 계기를 마련해왔다. 《올해의 작가상 2024》는 지난해 10주년을 기하여 이루어진 제도 개선의 취지를 이어 ▲ 최근의 문제의식을 담은 신작과 구작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작가의 작업세계를 집약하여 드러내고 ▲ 내년 초 온·오프라인으로 공개될 ‘작가-심사위원 대화’로 대중의 이해를 높인다.

    《올해의 작가상 2024》의 후원작가 윤지영, 권하윤, 양정욱, 제인 진 카이젠은 다채로운 각자의 목소리로 동시대를 새롭게 바라본다. 심리적 역동과 일상의 삶, 역사적 기억, 신화와 제의 등이 작가들의 주된 관심사이다. 인간의 가장 내밀한 영역으로 침잠하거나 거대한 세계로 확장해나가고, 기억하기 위해 또는 바람직한 삶을 표현하기 위해 사실과 허구 사이를 오가는 작가들의 방법론은 통념을 전복하고 눈길을 사로잡는다. 《올해의 작가상 2024》는 작가들이 펼쳐놓는 다채롭고 매력적인 이야기를 관객들과 나누고 그 안에 담긴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윤지영은 안과 밖을 가지는 조각의 속성을 이용하여, 외부의 사건이나 상황으로 인해 개인이 갖게 되는 태도 혹은 ‘더 나은’ 상태를 위한 노력을 형상화해왔다. 이번 전시를 위해 작가는 조각 실험을 보여주는 다양한 구작들과 함께 〈간신히 너, 하나, 얼굴〉(2024)을 비롯한 신작을 선보인다. 〈간신히 너, 하나, 얼굴〉에서 작가는 소원을 빌며 바치는 밀랍 봉헌물에서 출발하여 서로의 안녕을 바라는 친구들의 마음을 담은 조각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작가는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물질의 성격, 곧 ‘가소성’을 외부의 작용을 수용하고 변화할 수 있는 능동적인 힘으로 재해석한다.

    권하윤은 기억과 기록의 개념을 재고하기 위해 가상현실(VR)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억 경험을 창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록과 기억에 대한 작가의 문제의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보여주는 세 점의 구작과 신작 〈옥산의 수호자들〉(2024)을 선보인다. 가상현실 설치 작품 〈옥산의 수호자들〉은 옥산의 아름다운 자연을 매개로 친구가 된 대만의 부족장과 일본 인류학자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이 이야기는 허구와 현실, 역사와 기억이라는 구분을 넘어 ‘적’이라는 거대한 개념에 가려져 있던 구체적인 관계들을 새롭게 살펴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양정욱은 일상에서 포착한 장면에서 출발한 움직이는 조각과 이야기로 그가 바라는 삶의 모습을 전달한다. 전시는 인물을 다루는 작품과 풍경을 다루는 작품으로 구성되어, 고난과 희망 사이에서도 부단히 반복되는 사람들의 행동에 깃든 삶의 의미를 보여준다. 신작 〈아는 사람의 모르는 밭에서〉(2024)는 텃밭을 무대로 사람이 남긴 흔적에서 얻는 위안을 이야기한다. 물, 빛, 바람이라는 자연의 요소, 그리고 돌아가신 아버지의 텃밭을 마주한 아들의 이야기가 작가의 상상력을 매개로 움직이는 형상이 되어 관객을 맞이한다.

    제인 진 카이젠은 강렬한 시각성이 동반되는 시적이고 수행적인 영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세 점의 신작을 포함하여 총 일곱 점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연작 〈이어도 (바다 너머 섬)〉(2024)를 선보인다. 본 전시에서 처음으로 그 전체를 공개하는 〈이어도 (바다 너머 섬)〉는 지역공동체와의 오랜 협업을 바탕으로 제주의 자연, 역사, 문화, 오늘날의 쟁점에 대한 작가의 다층적 연구를 집약하여 보여준다. 나선형의 역동적인 스크린과 화면 속 다양한 주체들의 몸짓에서 출발하는 작품은 수행성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올해의 작가상 2024》 최종 수상 작가는 전시 기간 중 국내외 심사위원들과 작품에 관한 공개 대화 및 2차 심사를 거쳐 2025년 2월에 발표된다. 2차 심사인 ‘작가-심사위원 대화’는 관람객 현장 참여가 가능하고, 추후 온라인으로도 공개될 예정이다. 최종 수상 작가는 ‘2024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고 후원금 1천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는다. 또한 4인 후원작가 및 최종 수상 작가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다큐멘터리가 SBS 지상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올해의 작가상》은 한국현대미술의 내일을 이끌어갈 작가를 지원하는 국내 대표 전시”라며, “본 전시가 동시대 한국현대미술을 이끌어가고 있는 작가들의 문제의식을 많은 관람객 여러분과 나누는 기회로 작동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후원작가 4인 주요 작품 소개]

    권하윤
    에게 가상현실은 어떤 사건의 존재를 증거하는 수단이다. 이것은 이율배반적인 사용방식일지도 모른다. ‘현실과 같은 가상’이라는 말에 담긴 모순은 물론, 사진과 같이 이미지가 실재를 담보하는 것이 불가능한 매체로 ‘있었음’을 입증하려는 일 또한 부조리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가는 집요한 조사와 연구를 디딤돌 삼아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횡단함으로써 새로운 기억 경험을 생산하고자 한다.

    가상의 시공간을 빌리면 그동안 경험할 수 없던 세계가 우리 앞에 펼쳐진다. 예컨대 그것은 접근할 수 없는 장소, 타인의 마음 속에만 살아있는 기억,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사건일 수 있다. 그리하여 〈증거부족〉이 어떤 증거도 제시할 수 없는 이민자의 절박한 사정을 3D 애니메이션으로 입증하고자 분투한다면, 〈489년〉은 가상현실을 매개로 DMZ라는 접근제한구역에 접속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의 신작 〈옥산의 수호자들〉 또한 문자가 존재하지 않기에 사라질 위기에 처한 대만 원주민 부눈족의 기억을 담고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은 현실의 제약을 뛰어넘어 지금껏 경험되지 못한 것을 구현함으로써 그 경험을 공동의 기억으로 확장시킨다.

    작품을 통해 우리는 국가나 적처럼 거대한 관념으로 환원될 수 없는 구체적인 관계들을 되돌아보게 된다. 〈489년〉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DMZ의 자연이나, 국가 간의 갈등을 넘어선 〈옥산의 수호자들〉 속 우정 이야기처럼 말이다. 이렇듯 구체적인 현실의 모양을 드러내는 일은 체제 선전을 위해 세워진 가짜 마을 〈모델 빌리지〉의 전략을 역전시킨 것으로서, 가상현실에 또 다른 사용가치를 부여한다. 기록되지 않아 끝내 기억도 사라지고 말 어떤 세계를 위하여 작가는 부족한 증거 속에서 가상의 마을을 세운다. 그리하여 완전히 건너려면 489년은 걸릴 해자를 넘어가고자 한다. 작가의 인도를 따라 또 다른 현실 속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딜 때, 우리의 기억은 한층 풍요로워진다.


    양정욱은 움직이는 조각을 만든다. 저마다의 리듬으로 움직이는 조각들은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곤 한다. 하지만 핵심은 그 움직임이 비롯된 이야기에 있다. 양정욱의 이야기는 대개 일상의 한 장면으로부터 출발하지만 그렇다고 순전한 목격담은 아니다. 이야기 속에는 작가의 상상과 바람이 깃들어 있다. 작가가 삶에서 발견하고자 하는 무언가가 이야기가 되고, 그 이야기가 다시 반복하는 움직임이 된다.

    어떤 삶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하는 바람 외에 또 다른 바람이 작품에 담겨 있다면, 그것은 전하려는 마음이다. 작가는 자신의 방법론은 아상블라주라고 말한다. 사물을 연결하여 본래의 용도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공사장 인부들이 콘크리트 벽에 새겨넣은 전화번호처럼, 무언가 설명해보겠다며 주위에 널린 사물을 집어 되는대로 만들어낸 지도처럼, 작가에게 조각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용도가 변한 사물과 다름없다. 눈에 띄는 것은 거대한 조각일지라도 이 전환의 기술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과 정성이다. 아끼는 마음이 있어 정성을 들인다면 무엇이로든, 무엇이든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발견하고 싶은 삶의 모습과 그것을 전하려는 바람에서 만들어낸 이야기, 그리고 조각은 평범한 일상을 다시 들여다보게 만들 ‘동화’가 된다.

    양정욱의 동화는 균형잡기의 미학을 전한다. 작가에게 균형이란 정지된 상태이기보다는 기울었다가도 복구되는 끊임없는 과정 자체다. 전시는 이 변화의 과정을 인물에 대한 작품과 풍경에 대한 작품으로 나누어 보여준다. 인물에 주목한 작품이 누군가의 몸짓에 누적된 시간을 그가 되어야만 했던 무엇으로서 ‘직업’을 단서 삼아 그려낸다면 풍경에 대한 작품은 서로 다른 존재들이 어긋나면서도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을 담는다. 직업에 따라 몸짓이 달라지듯, 상대에 따라 자신이 변해가듯, 바람이 사물의 용도를 바뀌게 하고 정성에 의해 기술이 발전하듯. 고난과 희망 사이에서 부단히 애쓰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수없이 반복되며 삶을 이루어나간다. 이것이 바로 그의 조각이 계속해서 움직여야 하는 이유다.


    윤지영의 조각은 감추어진 원인의 결과다. 일차적으로 이 진술은 윤지영의 작품이 조각의 문법을 십분 활용한 수많은 사전 선택의 결과임을 나타낸다. 한편 이 진술은 그의 조각이 어떤 사연을 품고 있음을, 혹은 내밀한 마음의 작용임을 드러낸다. 형식적으로든 내용적으로든 감춰진 부분은 작품 이해에 무척 중요하지만, 결코 즉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조각 전체가 흔적기관처럼 작동하며 보는 이의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뿐이다.

    작가는 ‘개인이 어떤 상황이나 사건을 받아들이는 태도, 그리고 더 ‘나은’ 상태를 위한 ‘노력’‘을 작품으로 만들어왔다. 작품을 촉발시키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무언가에 대한 ‘불편감’이다. 이 불편은 개인의 의지에 반하여 행사되는 힘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잘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기만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그에 따른 개인의 반응은 몸 안팎으로 전개된다. 가슴을 짓누르는 압박감이 숨을 몰아쉬게 하고, 잘못된 믿음일지언정 간곡한 바람이 무릎을 꿇게 하는 것처럼. 그리하여 윤지영의 작품은 필연적으로 바깥에서 주어진 것과 안쪽에서부터 발현되는 것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조각이 저 안쪽까지 속속들이 찔려 있는 덩어리, 견디다 못해 찢어지고 부서진 물질, 모든 기력을 소진한 잔여물의 모습으로 관객 앞에 출현할 때, 잊고 있던 통각이 상기된다.

    만일 우리가 이 외부의 영향력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다면, 개인이 ‘더 나은’ 상태를 위해 노력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신작에서 작가는 소원을 빌며 혹은 소원 성취에 감사하며 바치는 사물, 곧 봉헌물에 주목한다. 서로를 위하는 친구들의 목소리가 담긴 물질로 떠낸 작가의 두상, 행복에 대한 바람을 담아 빚은 신체 조각은 일종의 봉헌물이다. 앞선 작품들에서 끝내 파괴되곤 하던 물질은 이제 가소성, 곧 외부의 작용을 수용하고 스스로 변화하는 능동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탈바꿈한다. 형태와 물질에 무관하게 친구들의 마음이 전해지고 간절한 기원을 담은 사물이 마음을 위안하듯 말이다. 작품은 나를 강제하는 힘에 대한 진술로부터 나를 지탱하는 힘에 대한 증언으로 이행한다. 고립의 시간을 지나온 조각에 다정한 진심이 녹아든다.


    제인 진 카이젠의 〈이어도(바다 너머 섬)〉는 약동하는 섬을 그린다. 네 점의 구작 <할망>, <이 질서의 장례>, <제물>, <수호자들>에 이어 세 점의 신작 <어귀>, <심>, <잔해>가 더해져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그 전체를 선보이는 연작 〈이어도(바다 너머 섬)〉는 등을 맞댄 중앙의 두 영상을 축으로 나선형을 그리는 다섯 개의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을 연결하며 확장하는, 혹은 끊임없이 중심으로 회귀하는 듯한 스크린의 역동적 배치는 보는 이들로 하여금 그 힘의 흐름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이어도(바다 너머 섬)〉의 역동성은 다양한 주체들의 몸짓으로 충만한 화면으로 이어진다. 바다가 품은 역사적 상흔을 달래는 잠수부의 춤과 심방의 노래를 표현한 <제물>, <잔해>, 섬을 파괴하는 개발의 논리에 저항하는 젊은이들의 몸짓 <이 질서의 장례>, 바다와 하나되어 살아온 해녀들의 손길<할망>,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서 뛰노는 아이들 <수호자들>, 이 모든 행위의 중심에서 고동치는 바다 속 생물들 <관문>, 땅 속 깊이 남겨진 용암의 흐름까지 보여주는 <어귀>. 섬과 바다는 그 자체로 퍼포먼스의 현장이다. 영상들은 작가의 다학제적 연구와 지역공동체와의 오랜 협력을 바탕으로 제주 고유의 자연과 해양문화, 무속의례, 역사와 기억 그리고 오늘날의 쟁점을 포괄적으로 담아낸다.

    이윽고 영상들은 서로 연결되기 시작한다. 그들을 잇는 것은 갓 태어난 아기의 기저귀부터 망자의 관을 묶는 끈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반에 걸쳐 사용되던 전통 직물 소창이다. 바위에 앉아 폐허를 행진하며 바닷 속을 헤엄치며 흰 천을 매만지고 풀고 몸을 엮는 이들 사이로 소창은 인간과 자연, 삶과 죽음, 새로운 세대의 저항과 옛사람들의 앎에 다리를 놓는다. 서로 다른 주체들을 잇닿아 놓음으로써 대안적 계보의 발견과 새로운 관계맺음의 가능성을 정초한다. 이렇듯〈이어도(바다 너머 섬)〉는 의례와 퍼포먼스 사이에 놓이는 몸짓 언어를 바탕으로 여러 주체를 연결함으로써 인식의 확장과 전환을 추동한다는 점에서 수행적이다.

    이 연결의 끝에서 〈이어도(바다 너머 섬)〉는 ‘제주’라는 특정한 장소를 수많은 다른 장소들과 겹쳐놓는다. 작품 제목인 ‘이어도’는 제주의 집단적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섬으로 바다 너머 어딘가에 잠재된 현실이자 도래할 장소다. 바로 그 섬인 동시에 모든 곳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섬이 전하는 이야기가 마치 세계를 끌어안으려는 듯 가없이 이어진다.



    올해의 작가상(2012~)

    《올해의 작가상》은 한국현대미술의 가능성과 비전 그리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작가들을 지원, 육성, 후원하기 위해 201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 및 진행해 온 시상제도이다.

    많은 관심과 화제를 모으며 미술계에 새로운 담론과 방향성을 제시해 온 《올해의 작가상》은 변화하는 예술 환경 속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고 한국미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증대시키고자 해외 심사위원을 포함시키는 등 매해 추천단과 심사위원단을 새로 구성한다. 올해는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샤를 란드브뢰흐트(Charl Landvreugd), 제24회 시드니비엔날레 예술감독 코스민 코스티나스(Cosmin Costinas), 뉴욕현대미술관 PS1 큐레이터이자 학예업무총괄인 루바 카트립(Ruba Katrib),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김성은, 싱가포르 아트뮤지엄 선임 큐레이터 김해주, 국립현대미술관장 김성희(당연직) 총 6명의 심사위원으로 구성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은 후원작가들의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올해의 작가상 해외활동기금'도 운영하고 있다. <2017 샤르자비엔날레>의 구동희, <2017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의 이수경, 2018년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에서의 문경원‧전준호 개인전, <2019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의 정은영, 2020년 영국 로커스플러스(Locus+)에서 이주요 개인전, <2021 아시아아트비엔날레> 김아영, 2022년 벨기에 쿤스트할레 엑스트라 시티(Kunsthal Extra City) 홍영인 개인전, <2022 샤르자비엔날레>의 박혜수를 비롯해 김기라, 나현, 박경근, 백현진, 오인환, 장지아, 함경아, 함양아 등의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전시제목올해의 작가상 2024

    전시기간2024.10.25(금) - 2025.03.23(일)

    참여작가 권하윤, 양정욱, 윤지영, 제인 진 카이젠, 올해의 작가상 2024

    관람시간월,화,목,금,일: 10:00-18:00
    수,토 야간개장: 10:00-21:00

    휴관일1월1일, 설날

    장르조각, 설치, 영상, 미디어 등 약 45점

    관람료2000원

    장소국립현대미술관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 2전시실)

    주최국립현대미술관, SBS문화재단

    후원협찬: 동국씨엠, 삼원특수지

    연락처02-3701-9500

  • Artists in This Show

국립현대미술관(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국립현대미술관

    2024.11.01 ~ 2025.04.13

  • 작품 썸네일

    MMCA 뉴미디어 소장품전-아더랜드

    국립현대미술관

    2024.09.10 ~ 2025.03.30

  • 작품 썸네일

    올해의 작가상 2024

    국립현대미술관

    2024.10.25 ~ 2025.03.23

  • 작품 썸네일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국립현대미술관

    2024.09.03 ~ 2025.03.03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차영석: Jouissance

    이화익갤러리

    2024.11.08 ~ 2024.11.28

  • 작품 썸네일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 작품 썸네일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 작품 썸네일

    박진흥: 광기 光記 드리워지다 Archive of the Light: Cast

    갤러리 반디트라소

    2024.11.06 ~ 2024.11.30

  • 작품 썸네일

    김선: 빙렬, 마음새-몸새-이음새

    갤러리 나우

    2024.11.05 ~ 2024.11.30

  • 작품 썸네일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 작품 썸네일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

  • 작품 썸네일

    무등: 고요한 긴장 Equity: Peaceful Strain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7 ~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