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2 Compulsion to Repeat
2019.11.27 ▶ 2020.03.08
2019.11.27 ▶ 2020.03.08
전시 포스터
뉴 미네랄 콜렉티브
공허한 지구
오메르 파스트
5,000 피트가 최적이다 사진: Nicholas Trikonis
이재이
한때 미래였던
차재민
사운드 가든
우정수
데우스 엑스 마키나
에밀리아 스카눌리터
T 1/2
김용관
신파
김인배
건드리지 않은 면
정연두
DMZ 극장 시리즈 - 도라 극장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반복’이라는 일상적 개념이 동시대 예술에 구현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를 구성하고 사로잡는 심리적 강박을 조명하는 전시 《강박2》을 개최한다.
기존에 반복이라는 개념은 주로 복제, 모방 등과 연결되며 의미론적으로 열등하게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반복은 더 이상 같은 것의 회귀가 아닌 차이를 생성하는 창조의 근원으로 부상하며 사회적, 정치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한편 강박은 ‘내적인 강제에 의하여 실행하지 않을 수 없는 반복적 행동의 형태’를 뜻한다. 이 전시는 강박이 그 자체로 지니는 반복적인 속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반복에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시는 국내외 9명(팀)의 현대미술 작가를 초청,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의 언어를 전유하는 예술작품들을 선보인다.
《강박2》전은 개인의 문제로 다루어져 온 강박을 동시대 사회구조의 문제 속에서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물질과 비물질의 동시적인 체계화, 표준화를 향해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개인이 겪는 정신병리적 증상은 점차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도적인 측면에서 타개하려는 움직임 혹은 개인의 삶과 결부된 사회의 문제로 환원하여 살펴보려는 노력은 미약하다. 이에 본 전시는 오늘날 우리 삶의 지평을 잠식해버린 자본주의 체제와의 관계 속에서 강박이 작동하는 방식과 그 해방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 예술 실천의 과정은 외부에서 새로운 답을 찾는 대신 내파(內破)의 원리를 모색한다. 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그것의 위반이나 대안과 같이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내부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전시는 강박 속에서 스스로를 반복하는 강박, 즉 ‘강박X강박’(강박2)이라는 예술적 전유의 전략을 내세운다. 자본주의적 강박이 고착되지 않도록 내부에서 여는 힘, 자본주의 밖을 상상하는 예술적 가능성이 곧 반복에 있다.
전시에 참여하는 9명(팀)의 국내외 작가들은 영상, 설치,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매체로 구성된 45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뉴 미네랄 콜렉티브는 에밀리아 스카눌리터와 타냐 부스로 결성된 협력 플랫폼으로, 주로 급진적 지질학, 새로운 공간적 지리학을 만드는 일 등에 관심을 갖고 활동한다. 미술, 영화, 과학 및 신유물론의 교차점에서 지리, 풍경, 생태 등의 문제를 다루며, 궁극적으로 인간이 지표면에 미치는 영향, 인간과 자연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번 전시에서 3채널 영상 작품 <공허한 지구>를 선보인다.
회화 작가 우정수는 역사에서 반복되는 지식과 문명에 관한 모티프나 B급 영화에 등장하는 이미지를 차용하고, 특정 도상을 자신이 창조한 상황 속에 대입하여 반복, 변형함으로써, 이미지에 부여된 서사를 중단시키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이번 전시를 위해 ‘바다’, ‘모험’, ‘낭만’ 등을 주제로 요나, 모비딕, 오디세이아와 같은 고전과 성서의 모티프를 차용한 총 29점의 신작을 선보인다.
이스라엘 예루살렘 출생으로 독일 베를린에 거주 중인 오메르 파스트는 개인과 집단의 기억이 조정되고 변화하는 방식에 관심을 두고 다수의 영상 작품과 영화를 제작해왔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 <5,000피트가 최적이다>는 라스베이거스의 한 호텔에서 진행된 미국 프레데터 드론 조종사와의 대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차재민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작업을 통해 소외되고 배제되는 존재 앞의 무력함을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해왔다.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한 신작 <사운드 가든>은 나무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심리 상담가들의 인터뷰 내용이 포개지는 영상작품이다.
정연두의 작업은 주로 현대인의 일상에서 소재를 발견하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수많은 가능성을 탐구한다. 강화도부터 고성에 이르는 13개 지역의 DMZ 전망대를 계절별로 촬영하고, 그 DMZ 지역에 얽힌 이야기들을 연출하여 담은 사진 설치 연작
김용관은 체계의 절대성이나 필연성에 의문을 품으며 기존의 가치를 수평으로 재배열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작업해왔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인 <시계방향으로의 항해>, <미메시스의 폐허들, 폐허들의 미메시스>, <신파>는 작가가 오랜 시간 다뤄온 주제인 ‘무한’에 관한 3부작이다. 이 작품들은 비주얼 노블 혹은 아트픽션(AF)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소재의 측면에서 예술, 죽음, 강박을 다루고 있다.
이재이는 퍼포먼스 기반의 비디오에서 시작하여 영상, 사진, 설치 등으로 작업 매체를 넓혀가며 현실과 환상, 기억과 상상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번 전시에서 이재이는 일상의 소소한 반복으로부터 시작되는 서사와 이미지의 중첩을 통해 시간의 구조에 주목하는 영상 작품 <한때 미래였던>, <다시 또 다시>를 선보인다.
김인배는 시간 속의 공간을 표현하는 조각, 시간을 거스르고 해체하는 조각을 통해 우리 시대의 시공간에 대한 인식에 저항하는 예술을 선보여 왔다.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작품 <건드리지 않은 면>은 반복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작가 고유의 방식을 감각적으로 구현한 작품이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태어나 노르웨이 트롬쇠에 거주 중인 에밀리아 스카눌리터는 주로 우주적, 지질학적인 시간과 환경 및 정치를 포괄하는 이른바 ‘오래된 연대’를 다루면서, 인간적인 관점을 벗어나는 시공간의 깊이를 타진한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
□ 전시에 초대된 작품들은 단순히 감각적 반복을 통한 대상의 재현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들이 아닌, 차이 나는 반복을 통해 대상의 본질에 틈을 내는 작업의 결과들이다. 결국 이 전시는 동일한 것의 반복이 아닌 차이를 가져오는 반복이 예술에서 어떻게 승화되고 또 어떻게 현실을 내부로부터 변화시키는가를 이야기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반복이 어떻게 창조하는가에 관한 끊임없는 실험이자 탐구다. 《강박2》전은 강박을 단지 우리시대의 징후로 바라보는 것에 머물지 않고, 강박의 내재적 한계를 관통함으로써 강박으로부터 징후를 넘어서는 해방의 가능성을 읽어보려는 시도다.
1980년 출생
1978년 출생
1986년 출생
1973년 출생
1969년 출생
1986년 출생
박경종: 층위 워프 Layer Warp
더 소소
2024.11.15 ~ 2024.12.13
배종헌: 명소名所_비너스의 등 Attractions_ Venus's back
갤러리 분도
2024.11.08 ~ 2024.12.13
이윤엽: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스페이스 결
2024.12.03 ~ 2024.12.14
숨결 노래
백남준아트센터
2024.09.12 ~ 2024.12.15
하태임,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
포스코미술관
2024.10.29 ~ 2024.12.15
이브겐 코피 고리섹 개인전 “Gente di Mare”
가나아트 나인원
2024.11.21 ~ 2024.12.15
차이의 미학 The Virtue of Diversity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2024.10.15 ~ 2024.12.15
김수빈 : 낭만산수: 나의 바람이 저 하늘에 닿기를
갤러리 도스
2024.12.11 ~ 2024.12.17